정보처리기사는 2020년 NCS 기반으로 시험 난이도가 개편되면서 실기 합격률 눈에 띄게 낮아졌습니다. 이에 전공자를 위한 자격증이라는 얘기가 나올 정도로 난이도가 높아진 자격증 중 하나인데요. 하지만 응시자격 제한이 없기 때문에 누구나 도전할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응시자격, 합격률, 공부 방법 정리 했습니다.
목차
정보처리기사란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시험은 정보시스템의 프로젝트 업무인 계획 수립부터 분석, 설계, 구현, 시험, 유지보수, 운영 등 수행 능력을 검증합니다. 즉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국가 자격시험이라고 보면 됩니다.
정보처리기사 응시자격
정보처리기사는 관력학과, 자격증+경력, 학점은행제를 통해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시험에서 관련학과는 모든학과(전공/비전공 관계없음)를 말하고 있습니다.
기능사 및 산업기사 자격증이 있다면 실무 경력을 포함하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고, 해당 자격요건이 모두 안된다면 학점은행제를 통해 106점을 이수하여 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응시자격 | |
관련학과 | 4년제 대학 졸업 또는 졸업 예정자 |
3년제 전문 대학 졸업 + 실무경력 1년 | |
2년제 전문 대학 졸업 + 실무경력 2년 | |
자격증 + 경력 | 기능사 + 실무 경력 3년 |
산업기사 + 실무 경력 1년 | |
실무경력 4년 | |
학점은행제 | 106학점 |
정보처리기사 합격률
정보처리기사는 필기시험의 합격률은 50%대이며 실기는 최근 20% 낮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실기에서 난이도가 높아진 이유는 2020년부터 NCS 기준에 맞춰 개편되었기 때문입니다.
2020년 4회, 5회부터 실기 시험 코딩의 난이도를 대폭 상승시켜 비전공자는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자에게 유리한 난이도 변경되었습니다. 그래서 소프트웨어 관련 이해도가 적은 비전공자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인데요.
정보처리기사가 어떻게 개편되었는지 아래에서 좀 더 다루겠습니다.
정보처리기사 개편 전/후
정보처리기사는 2020년 01월 01일 NCS(국가직무능력표준)을 기반으로 시험 난이도가 개편되었습니다. IT분야에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면서 우수한 프로그램 개발, 컴퓨터 관련 전문 지식을 갖춘 인재를 양성을 할 목적으로 개편되었습니다.
정보처리기사 개편 전/후 | |
개편 전 | 개편 후 |
데이터 베이스 | 소프트웨어 설계 |
전자계산기 구조 | 소프트웨어 개발 |
운영체제 | 데이터베이스 구축 |
소프트웨어 공학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데이터 통신 | 정보시스템 구축 |
정보처리기사 공부 방법
정보처리기사 공부 방법은 독학 또는 학원 등록을 해야 합니다. 첫 번째로 독학으로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자라면 익숙한 용어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준비해서 자격증 취득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전공자라면 기간을 넉넉히 두고 독학 공부 준비를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3년 올해 시험은 3번이기 시험 일정을 확인하고 준비하면 됩니다.
비전공자이면서 컴퓨터 분야를 잘 모른다면 학원 등록이나 국민내일배움카드를 통해 배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교재, 영상, 커리큘럼을 따라서 하면 혼자 독학으로 하는 것보다 수월할 수 있습니다. 특히 내일배움카드로 수강 신청을 하면 좀 더 저렴하게 학원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2023년 최신) (0) | 2023.04.20 |
---|---|
피복아크용접기능사 응시자격, 시험과목, 실기도면, 합격률 정리 (0) | 2023.04.07 |
토목기사 응시자격 및 합격률, 공부 방법, 하는 일 정리 (0) | 2023.04.04 |
조경기능사 응시자격 및 실기 준비물 총정리 (0) | 2023.03.31 |
타워크레인 기사 자격증 월급 및 취득 방법 소개 (0) | 2023.03.30 |